• 2023. 5. 15.

    by. 내몸은내가지키미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을 둘러싼 골과 인대의 압박으로 발생하는 신경증후군의 일종입니다. 손목 터널은 손목의 중앙에 위치한 협착된 공간으로, 이곳을 통과하는 중수신경이 압박을 받으면서 발생하는 증후군입니다. 이로 인하여 손목부터 손가락 끝까지의 감각과 운동기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이란?

    손목터널증후군(Caprpal tunnel syndrome)은 중수신경이 흘러가는 손목 내부의 터널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신경증후군입니다. 손목 내부에는 중수신경과 여러가지 힘줄이 있습니다. 이 중에 중수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손목부터 손가락 끝까지의 감각과 운동기능이 손상 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

    손목터널증후군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손목의 과도한 사용: 손목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직업이나 활동(예: 악기연주, 스포츠 등)을 하는 경우, 손목 내부의 근육과 인대가 붓고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손목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중수신경에 압박이 걸리게 됩니다. 

     

    2. 손목 부상: 손목을 다기처가 부상을 입은 경우, 손목 주변의 조직이 부어서 손목 내부의 터널의 크기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부상은 스포츠나 사고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질병: 질병 또한 손목터널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당노병은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신경계와 근육에 영향을 주어 손목터널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류머티즘 관절염은 인체 내부의 조직과 연계되어 신경계에 압박을 유발합니다.

     

    4. 유전적인 요인: 손목 구조가 타인과 다르거나 선천적으로 손목 터널이 좁은 경우 손목터널 증후군을 일으 킬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

    손목터널증후군이 무엇인지, 원인이 뭔지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그러면 손목터널증후군이 발생하면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손목 통증: 중수신겨잉 압박되면 손목 주변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통증은 종종 손목에서 손가락으로 이어지며, 밤에는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2. 손가락의 저림 혹은 피로감: 중수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손가락이 저립니다. 이는 종종 밤에 심해지며, 손가락의 피로감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손목 주변의 경직감 또는 불편감: 손목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붓고 염증이 생길 경우, 손목 주변에 불편감과 경직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4. 순목 주변의 냉감감 또는 열감감: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면, 손목 주변에 냉감감 또는 열감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5. 중수신경의 압막으로 손의 세기가 감소하고, 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6.  중수신경의 압막으로 손가락 움직임의 제한이 올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있으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하고 가까운 병원으로 내방하여 진료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법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수술적 치료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비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는 원인이 확실하지 않고 엄지 쪽 두툼한 부분의 근육 위축 또한 없습니다. 다른 증상 또한 가벼운 초기일 경우,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과도한 손목 사용 주의, 손목 부목과 같은 교정이 사용, 소염제 를 이용한 약물치료 등이 비수술적 치료로 사용 됩니다.

     

    야간 수면에서 통증이 주된 증상인 경우라면 손목을 가운데 고정시킬 수 있는 보호대를 사용하여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근관 내 스테로이드의 사용으로 연부 조직의 수축을 발생시켜 단기 장기적으로 증상의 호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세 완화는 일시적인 경우가 많으며 재발의 경우 또한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는 경우에 제한적 시행 가능한 방법입니다.

     

     

    2. 수술적 치료: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외과적인 수술로 수근관을 넓혀주는 것입니다. 수술적 치료의 대상은 종양과 같이 제거해야 할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이며, 무지구의 위축이 확실한 경우, 전기적 검사에서 신경의 손상이 심한 경우, 증세는 심하지 않지만 3~6개월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이 없는 경우 수술을 진행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비교적 간편한 수술에 속하며 수술 결과도 좋은 편이기에 조기 수술을 하는 환자도 있습니다. 

     

    이러한 손목터널증후군의 수술은 횡 수근 인대를 잘라주어 수근관을 넓히는 것이 근본입니다. 수근관 유리술이라고도 부르며, 피부 절개를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따라서 개방성과 관절경적 방법으로 나눕니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손은 약 2~3일 후부터 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용을 최소화하여야 합니다. 약 2주 정도 경과하면 일상생활에서 손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을 만큼 호전됩니다. 그러나, 약 6개월간은 조심해야 하며, 원래 기능이 돌아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편입니다. 수면 통증, 손목의 조이는 느낌등은 수술 후 즉시 개선 됩니다. 신경 압박의 정도에 따라 1년여 기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는 만큼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