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 근육, 신경 중 일부가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손목을 계속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손목 수근관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 증후군은 중년 이후의 여성, 비만, 노인,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임산부에게서도 이 증후군이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최근 손을 많이 사용하는 주부, 미용사, 스마트폰 기기나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에게서도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가 저립니다.(새끼 손가락은 증상이 없습니다.) 주로 밤에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손가락이 화끈 거리는 느낌을 받습니다. 또한 물건을 들다가 빈번하게 떨구는 일이 있고 아침에 손이 굳거나 경련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팔을 올렸을 때 팔목에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며 팔, 어깨, 목까지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치료
안마 및 마사지를 해줍니다. 마사지나 안마는 근육이 이완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킵니다. 손목을 사용한 지속적인 압박을 완화시켜 줄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 진통제나 염증억제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여 통증을 완화 시키고 염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근력강화운동. 손목 근육의 근력을 강화하여 손목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가 잘 안되는 경우나 신경 손상이 심한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방법
자세관리. 긴 시간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손목을 압박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자세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스트레칭. 을 통해 손목을 자주 움직이는 스트레칭 운동으로 근육을 이완시켜 줘야 합니다.
물리치료. 물리치료나 압박치료를 통해 손목 근육을 완화시켜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조기에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손목 부분의 불편함이나 통증이 있을 경우 적극적인 예방 활동을 통하여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진단 후 바로 해야 할 일 (0) 2023.04.27 골다공증 예방법과 치료법: 건강한 뼈를 유지하는 방법 (0) 2023.04.27 갱년기 폐경기의 증상과 이해 (0) 2023.04.26 녹내장으로부터 내눈 지키기: 원인과 증상 및 치료 (0) 2023.04.26 통풍의 원인 및 증상 치료 예방에 대해 알아보기 (0) 2023.04.26